Ketone/U 케톤뇨 Negative
베터 옥시 낙산, 아세트초산 및 아세톤을 케톤체라고 부르며 케톤체가 요에 나타나는 상태를 케톤뇨(증)라고 한다. 케톤체는 지방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당의 공급 부전이나 당대사 장해가 있을 때에 지방이 주요 에너지원이 되기 때문에 케톤체 생성이 항진하여 케톤뇨증을 일으킨다. 케톤체의 산생이 많아 요중에 전부 배설하지 못할 때 혈중에 축적되어 케톤혈증을 일으키고 아시도시스가 된다. 케톤뇨증은 기아, 에테르 마취, 당뇨병 등의 경우에 볼 수 있으며 또 격한 지구성 운동 때에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케톤 뇨 [-尿, ketonuris] (체육학대사전, 2000. 2. 25., 이태신)
아직 케톤뇨는 Negative로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Leuko/U 백혈구 검출 Negative
백혈구 검출도 Negative로 나오지 않아서 다행이네요..
우선 소변에서 백혈구가 나온다는 것 자체만으로 신결핵을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농뇨는 소변채취방법에 따라 정상인에서도 나올 수 있으며 최근 치료된 세균성 요로감염, 감기와 같은 열성질환, 혹은 다른 신장염에서도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전문가의 진찰과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며 조기에 진단되면 아무런 후유증 없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확진된 후 치료기간은 최소 6개월이지만 약에 대한 부작용이 없다면 힘들지 않습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 소아감염을 전문하시는 선생님이나 감염내과 전문의를 찾아 가십시요.
[네이버 지식백과] 소변검사에서 백혈구가 적출됩니다. (가천의대길병원 건강칼럼)
Nitrite/U 소변 아질산염 Negative
소변안에 아질산 (Nitrite)가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라고 합니다.
저는 다행이 안나왔는데,
만약 Positive라고 뜬다면 감염사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Urobili/U Normal
이것도 정상이라서 딱히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
찾아도 잘 나오지 않네요..
Bil/U 소변 빌리루빈 Negative
이것도 다행히 Negative. 음성이라고 판독되더라도
정량적으로 따지면 완전히 0 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혈중 빌리루빈이 높아지는 용혈성 빈혈이나, 간 진활에서 상승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빌리루빈은 거의 대부분이 적혈구 성분인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대사물이다. 우선, 빌리루빈 대사경로의 시작인 헤모글로빈 대사를 살펴보자.
헤모글로빈의 대사는 지라의 대식세포(macrophage)와 간세포에서 이루어진다.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빌리루빈은 쓸개즙의 한 성분으로서 소화관으로 배설되어 변으로서 체외로 버려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빌리루빈 [Bilirubin]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6 : 소화기, 2013. 3. 21.)
OB.urine 혈뇨 3+
저는 루푸스진단이후, 계속 혈뇨가 발생하고있는데
딱히 병원에서는 혈뇨에 대해서는 말씀이 없어서..
가만히 있는 중입니다. 줄어들지도 않고
보통 3+를 유지하고있습니다.
심할떄는 4+도 나올때도있고...흠...
걱정되고 무섭기도 한데..
저는 눈에 보이는 혈뇨는 아닌 것 같고, 미세혈뇨 인 것 같습니다.
어디서 읽어봤을때 혈뇨가 두가지가 있다고 들었는데
눈에보이는 혈뇨와 미세혈뇨 라고 했던것같은데
저는 이 미세혈뇨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포스팅에 올려두었듯이 제 소변색은 딱히 문제가 없는데
자꾸 혈뇨가 발생하는건 소변색이 붉거나 그런건 아니고, 미세혈뇨가 발견되는 것 같습니다.
혈뇨란 소변에서 비정상적으로 적혈구(피)가 나오는 것으로 정상인의 소변에도 적혈구가 현미경 시야당 3개 이상의 적혈구가 배출되기도 한다. 한번이라도 소변에 적혈구가 보이거나 현미경 고배율 시야 하에 적어도 2~3개의 적혈구가 보이면 이를 혈뇨로 정의 한다. 소변이 육안적으로 피가 섞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붉을 경우에는 이를 '육안적 혈뇨'라고 하며 현미경에서만 식별이 가능할 경우에는 '현미경적 혈뇨'라 한다.
혈뇨가 있다는 것은 피를 걸러 소변을 만들어 내는 신장(콩팥), 신장으로부터 소변을 저장하는 방광(오줌보) 사이의 관인 요관, 방광, 요도로 이루어지는 요로의 어느 부분에서 피가 나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피세포와 상피세포사이의 벽(endothelialepithelia l barrier)이 생리적으로 손상되어 적혈구가 사구체 상피세포, 기저막,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결손부위를 통하여 모세혈관에서 빠져 나와 신장에서 사구체나 세뇨관을 통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이다.
혈뇨의 주요 원인으로는 감염, 해부학적 질환(선천성 비뇨생식기기형, 외상, 수신증, 결석, 종양, 낭종, 다낭포신, 신동정맥루, 혈관종, 신유두괴사), 혈액학적 질환(혈우병, 혈액응고 질환, 혈소판 결핍증), 신사구체 질환 등이 있으며 그 외에 항생제 등의 약물, 과칼슘뇨증, 신정맥혈전, 신피질괴사, 신수질괴사, 심한 운동에 의해 혈뇨가 발생할 수 있다. 요로감염이나 해부학적 신기형이 없는 환자에서의 혈뇨의 대부분은 신사구체질환이 많다. 혈뇨의 원인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며 혈뇨의 원인 중에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질환들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반드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혈뇨 검사에 앞서 붉은 소변이 발생하는 다른 원인인 약물 등에 의한 헤모글로빈뇨, 외부색소, 페놀프타레인, 피리디움, 리팜핀 같은 약제, 음식물의 색소 등에 의한 것인지 구별하여야 한다. 혈뇨가 발생했을 때는 적어도 배설성 요로조영술과 방광경검사를 기본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배설성 요로 조영술이란 조영제라는 특수 약물을 주사한 후 양측 신장과 요관을 검사하는 방사선 검사이다. 때때로 조영제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환자가 있는데 이때는 다른 검사방법을 사용한다. 방광경검사는 방광과 요도 안을 내시경을 통하여 직접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대부분 진통제 주사 후에 시행한다. 최근에는 내시경 제작기술의 발달로 아주 가는 굴곡형 내시경이 개발되어 검사 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방광 내 내시경검사를 통한 혈뇨의 육안적 확인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상부요로 즉, 신장이나 요관에서 발생하는 혈뇨가 의심될 때는 신요관경을 이용한 내시경검사로 요관과 신장의 내부를 육안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혈뇨를 일으킬 수 있는 많은 원인 중 흔하지만 덜 심각한 혈뇨의 원인 질환으로는 신결석과 요로감염이 대표적이며 50세 이상의 남자에게 가장 흔한 혈뇨의 원인은 전립샘비대증이다. 정상인이 특별한 이유 없이 현미경적 혈뇨가 나타날 때에는 특별한 치료는 필요 없으나 혈뇨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하여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피오줌(혈뇨)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WBC 3-4/ HPF(고배율시야)
소변에서 3-4 HPF < (현미경을 사용한 높은 배율의 시야 라고 합니다.)
WBC 백혈구
RBC 20-29/HPF
RBC는 적혈구
정상수치가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백혈구는 3-4정도 확인되는데...
적혈구는 20-29..!
혹시 이거랑 혈뇨랑 같이 관계가 있는건 아닌지
궁금해진다.
Ep.cell 상피세포 3-4/HPF
상피세포.. 여성의 경우 발견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저렇게 현미경이용해서 확인해본다면..
아주소량정도는 당연히 발견되지 않을까? 싶다..ㅎ
아무튼 검사해주시는분들 너무너무 대단하시다.
Bacteria 박테리아 A few
박테리아 A few....
이때 한양대에 입원했을때
자꾸 균이 검출된다고 항생제 먹고 그랬던 기억이 난다.
뭐때문에 박테리아가...
왜 박테리아가.. 소변에서 나온지는 모르겠다.
근데 찾아보니 박테리아가 나온다는 얘기는
소변에서 나왔다기보다는 외부에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흠..!
Yeast 효모 Positive
소변에 효모.. 맥주효모 이런건 많이 들어봤는데..
흠.... 아무튼 이것도 positive
근데 따로 언급은 없으셨으니 찾아보지도않았고..
걱정도 안했따..
사실 소변검사에서 제일 중요히 생각하고
확인하는건 뭐니뭐니해도 단백뇨 밖에 없기때문에..
내가 의사도 아니고.. 간호사도아니고..
약사도 아니고.. 병원에서 일할 것도 아니라..
잘 나오지 않는것 까지 찾아보는데는 조금 무리가 있는 것 같다.
잘 나와있지 않는 이유는 , 엄청나게 중요한건 아니라고... 혼자 생각중...
ㅎ...
Mucous 점액질 Negative
이것도 negative 아무래도 negative가 나오면 잘 안찾아보게 된다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도 찾아보니 이 검사는 엄청 잘 하는 검사는 아니라고..
나오는 것 같다.
'루푸스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검사 정상수치 / 림프구 / 호중구 / 혈소판수치 / 혈소판정상수치 (0) | 2019.10.15 |
---|---|
[혈액검사 정상수치] 피검사 정상수치 / 피검사 / 혈액검사 / 빈혈검사 / 빈혈 피검사 / 헤마토크릿트 (0) | 2019.10.15 |
[소변검사 정상수치] 채뇨 / 채뇨검사결과 / 채뇨검사정상수치 / 소변검사 / 루푸스신염 소변검사 / 루푸스신염 (0) | 2019.10.15 |
루푸스피검사 / 염증수치 / ESR수치 / 혈액검사정상수치 / 혈액검사수치 (0) | 2019.10.04 |
eGFR Value수치 / 사구체여과율수치 / ALP AST ALT 수치 / 간수치 / Bilirubin수치 / BUN수치 (0) | 2019.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