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sma 혈색소 0
혈액이나 혈구 속에 존재하여 산소의 운반에 관여하는 물질로 보통
금속을 품는 단백질 분자이기 때문에 착색되어 있는 일이 많으며
그 분포는 분류학적으로 보아도 극히 통일성이 없고, 진화론적인 관계도 찾아볼 수 없다.
보통 금속을 품는 단백질 분자이며, 그 때문에 착색되어 있는 일이 많다.
척추동물의 혈색소는 모두 적혈구 속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이다.
무척추동물이라도 환형동물의 개불, 극피동물의 흰해삼, 패류(貝類)의 피조개,
촉수동물의 비벌레 등은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과 흡사한 혈색소를 가진다. 또한 환형동물인 지렁이·갯지렁이, 패류인 평물달팽이,
곤충인 깔따구의 유충 등은 혈장 속에 헤모글로빈과 같은 혈색소가 있는데,
이를 에리트로크루오린이라고 한다.
연체동물이나 절지동물은 구리를 많이 품고 있는 헤모시아닌이라는 단백질이 체액 속에 들어 있는데,
이것이 산소와 결합하면 연한 푸른색이 되고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색이 되므로 혈청소(血靑素)라고 불린다. 또 패류인 키조개는 망가니즈를 품는 피나글로빈을,
원색동물인 멍게는 바라듐을 품는 헴바나딘을 각각 혈색소로서 혈구 속에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혈색소의 분포는 분류학적으로 보아도 극히 통일성이 없고, 진화론적인 관계도 찾아볼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혈색소 [blood pigment, 血色素] (두산백과)
Undiff 0
N.RBC 0
ANC 절대호중구수5.46
Absolute Neutrophil Count
총 백혈구수에 호중구의 백분율을 곱하여 계산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호중구감소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호중구는 백혈구의 한 종류로 인체를 세균 및 진균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며,
모든 염증반응에 있어 초기 반응을 수행하기 때문에 절대호중구수가 감소하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급성 호중구감소증은 수일간 지속되다 회복되지만
만성 호중구감소증은 수개월에서 수년 간 지속됩니다.
절대호중구수 감소는 약물 독성, 과민반응, 항암제, 면역억제제 사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절대호중구수 감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는
골수형성이상증후군, 백혈병, 재생불량빈혈 등이 있습니다.
세포독성 약물이나 방사선조사에 의한 호중구감소증은
노출 후 7-10일이 되는 시점에 나타나며 2-3주간 지속됩니다.
절대호중구수가 500/μL 이하로 감소하면 세균감염에 극도로 취약해지기 때문에 보호적 격리술이 필요합니다.
급성으로 증가하는 호중구의 경우에는 염증, 감염, 신체손상, 스트레스가 흔한 원인이나,
만성적으로 지속될 경우 골수증식종양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T(sec) 11.4
PT(%) 102
정상수치
PT(INR) 혈액 응고검사 1.01
aPTT PT's 혈액응고검사 23
aPTT N.C. 혈액응고검사 31
지혈 작용에는 혈소판과 응고인자, 그리고 혈관이 관여한다. 혈소판과 응고인자(coagulation factor)는 양적, 기능적으로 충분한 역할을 해야 하며, 혈관은 혈관을 구성하고 있는 내피세포와 결체조직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어느 하나라도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출혈 질환이 발생하게 되며, 원인에 따라서 다양한 출혈 질환이 나타나게 된다.
혈액 응고 검사는 이러한 출혈 질환에 대한 선별 검사로, 특히 혈소판과 응고인자 중 어느 것에 양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선별(screening)하는 검사이다. 출혈 시간(bleeding time, BT),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이 선별 검사로 많이 쓰이고 있다. 출혈 시간은 혈소판 수의 감소나 혈소판 기능 이상 시에 연장되며, 프로트롬빈 시간과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은 응고인자 감소 시에 연장된다. 특히, 프로트롬빈시간과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은 연장된 항목에 따라서 혈액 응고 과정 중 공통 경로(common pathway),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 중 어느 경로에 관여하는 응고인자가 감소한지 선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혈액 응고 검사 [blood coagulation test]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종류
1) 출혈 시간(bleeding time, BT)
피하혈관에 약 5mm 정도의 길이에 1mm 정도의 깊이로 절개를 한 후 출혈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법이다.
절개하는 피부 위치와 검사 방법에 따라 세 가지 방법으로 분류된다.
① 듀크(Duke)
법채혈용 란셋(lancet)으로 귀젖의 피부를 절개하는 법
② 아이비(Ivy)
법상박에 혈압계의 커프(cuff)를 감고 일정한 압력으로 맨 상태에서 전박의 피부를 절개하는 법
③ 템플릿(Template) 법
아이비(Ivy) 법과 유사하나 찌르는 깊이와 길이를 일정(5mm 길이, 1mm 깊이)하게 하기 위한 상품화된 기구를 사용하는 법대개 정상인에서 출혈이 멈추는 시간은 2~8분 정도이다. 아스피린 복용, 유전성 혈액응고 질환인 폰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혈소판 감소증과 기능 이상, 혈관 장애 때는 비정상적으로 연장되고, 응고인자에 관련한 응고 장애에서는 흔히 정상이다. 출혈 시간은 특히 수술 전 환자의 출혈 가능성에 대한 선별 검사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검사의 표준화가 어렵고 민감도나 특이도가 낮아 최근에는 다른 검사들로 대체되고 있다.
2)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
환자의 혈장에 트롬보플라스틴(tissue thromboplastin), 인지질(phospholipids), 칼슘이온을 첨가한 후 응괴(덩어리)가 생길 때까지의 시간이다. 혈액 응고 과정 중 외인성 경로에서 조직인자(tissue factor)를 포함하고 있는 트롬보플라스틴에 의해 VII 응고인자가 활성화되면 공통 경로에 해당하는 응고인자(V, X)가 활성화되고 프로트롬빈(prothrombin, II 응고인자)이 트롬빈(thrombin)으로 전환되고 이는 섬유소원(fibrinogen, I 응고인자)을 fibrin clot으로 만든다. V, VII, X, I, II 응고인자의 선천적 결핍이나 후천적 결핍 시에 프로트롬빈시간이 연장된다.
프로트롬빈 시간의 보고방식은 초, %, 프로트롬빈 비율(PT ratio=환자의 PT시간/정상인의 PT시간), 국제 정상화 비율(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등으로 다양하다. 국제 정상화 비율(INR)은 검사 시약에 따른 프로트롬빈 시간의 차이를 보정하여 나타낸 수치로 정상 프로트롬빈 시간을 1(0.8~1.2)로 이해하면 된다. 특히 경구용 항응고제를 사용하는 환자에서는 국제 정상화 비율(INR)의 수치를 기준으로 약물 농도를 조절한다. 정상치는 시약에 따라 다르나 약 12~14초이다.
3)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혈장에 표면활성제(surface activator: kaloin, ellagic acid, celite 등), 인지질(phospholipids), 칼슘 이온을 첨가 후 응괴가 생길 때까지의 시간이다.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이 연장되는 경우는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의 XII, XI, IX, VIII 응고인자, 프리칼리크레인(prekallikrein), 고분자중량 키니노겐(high molecular weight kininogen, HMWK)의 결핍과 V, X, II, I 응고인자의 결핍이 있음을 의미한다. 헤파린 치료 환자에서는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수치를 기준으로 혈중 헤파린의 적정 농도를 유지하는 데 모니터링 한다. 정상치는 시약에 따라 다르나 약 33~45초이다.
검사주기
필요에 따라 시행되는 검사로 권고되는 검사 주기는 없다.
준비사항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다.
검사방법
1) 출혈 시간
알코올 솜으로 검사할 부위를 소독한 후 다 마르면 그 부위를 찌르거나 절개한다. 혈액이 자연스럽게 나오기 시작하면 시간측정기구(스톱워치, stopwatch)를 이용하여 30초마다 여과지를 출혈 부위에 가볍게 접촉시킨다. 서서히 지혈이 되면서 여과지에 찍히는 혈반점은 점점 작아진다. 완전히 지혈되어 더 이상 혈반점이 찍히지 않게 되면 시간측정기구의 작동을 멈춘다.
2) 프로트롬빈 시간,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채혈실에서 검사 용기에 소량의 피를 채혈한다.
주의사항
아스피린, 헤파린, 와파린 등의 약물 복용 시 검사 전 미리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아스피린(aspirin), 헤파린(heparin), 와파린(warfarin) 등과 같이 혈소판과 응고인자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 약물 복용 시, 검사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아스피린의 경우 혈소판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출혈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헤파린 사용 시에는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이, 와파린 복용 시에는 프로트롬빈 시간이 정상적으로 연장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혈액 응고 검사 [blood coagulation test]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D-Dimer D-이합체 0.49
'루푸스뽀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검사 정상수치] 칼륨, 나트륨, 알부민, 칼슘, 백혈구, 적혈구 , WBC, RBC , HCT, LYM , EOS, 크레아티닌 수치 (2) | 2019.10.16 |
---|---|
[한양대학교병원 어플] 한양대학교 어플 / 어플로 검사결과 확인하기 한양대 어플 / 한양대학교 / 한양대학교 류마티스 / 배상철교수님 (0) | 2019.10.16 |
혈액검사 정상수치 / 림프구 / 호중구 / 혈소판수치 / 혈소판정상수치 (0) | 2019.10.15 |
[혈액검사 정상수치] 피검사 정상수치 / 피검사 / 혈액검사 / 빈혈검사 / 빈혈 피검사 / 헤마토크릿트 (0) | 2019.10.15 |
[소변검사 정상수치] 채뇨 / 소변검사 / 채뇨검사 정상수치 / 소변정상수치 / 혈뇨 / 소변에서 백혈구 (0) | 2019.10.15 |